배너 닫기

인생 2막 위해 귀농·귀촌인 절반 1년 이상 준비

도시로 다시 이주할 의향에 대부분 ‘없다’

입력 2015년04월15일 18시54분 트위터로 보내기 싸이월드 공감 네이버 밴드 공유

귀농·귀농인의 100명 중 55명은 ‘1년 이상 준비했으며, 자신의 귀농·귀촌에 대해 46명은 성공적이라고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촌진흥청은 귀농·귀촌인의 안정적인 농촌 사회 정착을 지원하기 위해 한국농촌경제연구원과 함께 실시한 귀농·귀촌인 정착 실태 조사결과를 발표했다. 주요 조사 결과를 보면, 준비 기간은 ‘3년 이상21.4%, ‘23년 미만’ 14.1%, ‘12년 미만’ 19.7%로 조사돼 절반 이상(55.2%)1년 넘게 준비한 것으로 조사됐다. ‘준비 기간이 없었다(9.2%)’는 비율은 매우 낮았다.

 

귀농·귀촌 전의 직업은 자영업자(25.8%)’가 가장 많았고, ‘사무직(18.3%)’, ‘행정·경영·관리자(11.7%)’, ‘기능직(9.8%)’, ‘판매 서비스직(7.6%)’ 순으로 나타났다. 귀농·귀촌 이유로는 조용한 전원생활을 위해서(31.4%)’가 가장 많았으며, ‘도시 생활에 회의를 느껴서(24.8%)’, ‘은퇴 후 여가 생활을 위해서(24.3%)’, ‘새 일자리나 농업·농촌 관련 사업을 위해(22.2%)’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사진제공: 충청남도농업기술원  

귀농·귀촌 과정에서 겪은 어려움으로는 여유 자금 부족(47.2%)’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영농 기술 습득(27.4%)’, ‘농지 구입(25.5%)’, ‘생활 여건 불편(23.8%)’, ‘지역 주민과의 갈등(16.1%)’ 등을 꼽았다. 귀농·귀촌 후 주요 경제 활동으로는 농업에만 전념(40.2%)’, ‘농업과 다른 경제 활동을 겸업(35.8%)’, ‘농업 이외 다른 분야 경제 활동에만 종사(13.3%)’, ‘은퇴 또는 무직(10.6%)’ 등이었다.

 

연령대가 낮을수록 농업 외의 다른 분야에 종사하는 비율이 높았다. ‘농업에만 전념40세 이하가 35.8%, 415037.7%, 516043.2%, 61세 이상 39.7%로 나타났고, ‘농업 이외 다른 분야의 경제 활동에만 종사40세 이하가 19.8%, 415016.8%, 516012.1%, 61세 이상이 6.9%로 나타났다.

 

귀농·귀촌인 중 농업 종사자의 판매액이 가장 많은 주력 품목은 과수(34.7%)’였으며, 다음으로 채소·화훼(16.9%)’, ‘쌀과 식량 작물(16.3%)’, ‘특용 작물·버섯(15.2%)’ 등이 차지했다. 앞으로 하고 싶은 경제 활동으로는 농산물 가공과 판매(70.9%)’, ‘농촌관광사업(46.1%)’, ‘농업에 종사(27.8%)’ 등이었다.

 

귀농·귀촌 성공에 대해서는 매우 성공적(7.2%)’성공적인 편(38.2%)’이라는 평가가 45.4%, ‘매우 실패한 편(1.0%)’실패한 편(4.1%)’이라는 평가 5.1%보다 월등히 높았다. 그러나 아직 모르겠다는 응답도 49.6%로 높게 나왔다.

 

도시로 다시 이주할 의향에 대해서는 대부분 없다(72.1%)’라고 답했으며, ‘의향이 있다(8.6%)’는 응답은 매우 낮았다. 마을과 지역 발전을 위해 귀농·귀촌인이 기여할 수 있는 분야를 묻는 질문에는 저소득층 지원과 사회 복지 분야 봉사(33.5%)’가 가장 높았으며, ‘멘토링·상담과 학교·평생 교육 분야(32.2%)’, ‘컴퓨터·인터넷 등 정보화(25.7%)’, ‘상품 기획·마케팅(25.1%)’, ‘기능·기술 분야 실기 지도(23.7%)’ 등이 뒤를 이었다.

 

한편, 이번 조사는 20141124일부터 1228일까지 전국 농촌 지역에 사는 귀농·귀촌인 1,209명을 대상으로 우편 조사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응답률은 82.7%(1,000)이다. 농촌진흥청은 이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귀농·귀촌인의 농촌 사회 적응 과정을 분석하고, 이들의 전문 지식과 역량을 농촌 사회 발전에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찾을 계획이다. 또한, 앞으로 귀농·귀촌인의 정착 실태를 지속적으로 조사해 귀농·귀촌인의 특성을 고려한 유형별 정착 지원 방안을 마련하고, 관련 정책 수립도 건의할 방침이다.

 

농촌진흥청 농촌환경자원과 최윤지 연구관은 귀농·귀촌인이 농업·농촌의 소중한 인적 자원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농업 분야로의 진입과 농촌 정착을 적극 지원하고, 농촌지역사회와 더불어 발전할 수 있는 경제 모델을 만들 필요가 있다라고 말했다.

박인수 기자 이기자의 다른뉴스
유료기사 결제하기 무통장 입금자명 입금예정일자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

가장 많이 본 뉴스

종합 건강 스포츠 문화 이슈

동영상 뉴스

포토뉴스

건강뉴스

현재접속자 (명)